AWS란?
아마존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. AWS는 다양한 컴퓨팅 리소스와 서비스를 제공하며, 사용자는 이를 통해 인프라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개발, 배포, 관리 할 수 있다.
비슷한 서비스로는 Google GCP(google cloud platform)와 Microsoft의 Azure이 있고 이와 같은 서비스를 CSP(Cloud service platform)이라 불린다.
주요 특징
1. 확장성: AWS는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를 쉽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게 해줍니다. 사용량에 따라 자원을 늘리거나 줄여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
2. 비용 효율성: 물리적인 서버를 구입하고 유지하는 대신,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임대하여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
3. 다양한 서비스:
• 컴퓨팅: EC2(Elastic Compute Cloud) 같은 서비스를 통해 가상 서버를 제공하며, 사용자는 원하는 운영체제와 사양을 선택할 수 있다.
• 스토리지: S3(Simple Storage Service)와 EBS(Elastic Block Store)를 통해 데이터 저장 및 백업을 관리할 수 있다.
• 데이터베이스: RDS(Relational Database Service)와 DynamoDB 같은 서비스를 통해 관계형 및 NoSQL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.
• 네트워킹: VPC(Virtual Private Cloud)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맞춤 설정하고, 보안 그룹과 네트워크 ACL을 통해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다.
4. 글로벌 인프라: AWS는 전 세계 여러 리전(Region)과 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)에 서버를 두어 높은 가용성과 신뢰성을 제공한다
5. 보안: AWS는 데이터 암호화, IAM(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)을 통한 접근 제어 등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해, 데이터와 리소스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.
리전과 가용영역
- 지역(Region):물리적으로 분리된 지리적 위치에 있는 데이터 센터 집합. 국가적 단위로 생각하면 된다
하나의 리전 내 여러개의 가용 영역이 존재하고 전세계에 많은 리전이 있다.
- 미국 동부(버지니아 북부)
- 아시아 태평양(서울): ap-northeast-2
- 유럽(프랑크 프루트)
- 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, AZ): 하나의 리전 내에 있지만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 센터. 대한민국 안에 서울, 인천, 대전처럼 나뉜거라 생각하면 된다.
- 서울 기준: ap-northeast-2a / ap-northeast-2b / ap-northeast-2c / ap-northeast-2d
이렇게 다양한 리전과 가용영역이 있는 이유는 고가용성, 내결함성, 지연 시간 감소, 그리고 법적 규제를 준수하면서 전 세계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.
그래서 앞으로 AWS 서비스의 종류와 구현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.
'AWS 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보안그룹 생성하고 연결하기 (2) | 2024.09.11 |
---|---|
[AWS] EC2 인스턴스 생성하고 연결하기 (2) | 2024.09.11 |
[AWS] AWS 사용자 계정 생성 (0) | 2024.09.11 |
[AWS] AWS 계정 생성하기 (0) | 2024.09.11 |
[AWS] EC2(가상서버) 들어가기 (1) | 2024.09.11 |